Research Stories

View All

Research Stories

혈당강하제 SGLT2 억제제, 대사이상지방간질환 환자의 주요 간 질환 예방 효과성 규명

혈당조절을 넘어선 다면적인 효과성 확인

약학과 신주영 교수 · - 배성호·고화연 연구원

  • 혈당강하제 SGLT2 억제제, 대사이상지방간질환 환자의 주요 간 질환 예방 효과성 규명
  • 혈당강하제 SGLT2 억제제, 대사이상지방간질환 환자의 주요 간 질환 예방 효과성 규명
Scroll Down

약학과 신주영 교수팀은 국내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대규모 인구기반 코호트 연구를 통해 대사이상 지방간질환(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tic liver disease, MASLD) 환자에서 혈당강하제 SGLT2 억제제의 주요 간 질환 사건(hepatic events) 예방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대사이상지방간질환은 전세계적으로 그 질병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의 유병률은 60%에 달한다. 대사이상지방간질환의 증상이 중증으로 진행되기 이전까지 무증상이라는 특성과 질환 진행 지연을 위한 다학제적인 접근 방법이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제2형 당뇨병을 동반하는 대사이상 지방간질환 환자에서 비보상성 간경변, 복수, 정맥류, 간부전, 간이식 등 주요 간 질환 사건 예방에 효과적인 혈당강하요법을 탐색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이에, 신주영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 내 2014년부터 2022년 사이 SGLT2 억제제, GLP-1 수용체 작용제, Thiazolidinedione계 약제를 처음 처방받은 대사이상지방간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주요 간 질환 사건 발생 위험을 비교하는 코호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SGLT2 억제제와 GLP-1 수용체 작용제 간의 주요 간 질환 사건 예방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Thiazolidinedione계 대비 SGLT2 억제제 복용 환자에서 주요 간 질환 사건 발생 위험을 23% 감소시킨다는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신주영 교수는 “제2형 당뇨병과 대사이상지방간질환 간의 연관성을 고려할 때, 현재 가이드라인에서 대사이상지방간질환 환자 대상 주요 간 질환 사건 발생 예방을 목표로 한 특정 혈당강하요법을 지지할 만한 근거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SGLT2 억제제와 GLP-1 수용체 작용제 및 Thizolidinedione계 혈당강하제의 간 질환 위험을 직접적으로 비교하여 근거를 생성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공동 연구진으로 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배재현 교수, 조영민 교수, 강북삼성병원 장유수 교수, 류승호 교수, 영국 University of Southampton의 Christopher Byrne 교수가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는 의학 분야 저명 국제 학술지 ‘Gut (Impact Factor=23.0, JCI ranking 상위 2.4%)'에 1월 17일 정식 출판되었다.



※ 논문명: Risk of hepatic events associated with use of sodium-glucose cotransporter-2 inhibitors versus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and thiazolidinediones among patients with 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tic liver disease

※ 저널: Gut(IF: 23.0)

※ 저자명: 신주영(교신저자), 배성호(공동 제1저자), 고화연(공동 제1저자)



그림 1. 각 코호트에서의 주요 간 질환 사건 발생 위험 (The risk of hepatic decompensation events)


그림 2. 각 코호트에서의 주요 간 질환 사건 누적 발생률 곡선 (Cumulative incidence of hepatic decompensation events)


COPYRIGHT ⓒ 2017 SUNGKYUNKWAN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ontact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