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Stories
끈끈한 물질 없이 벽을 오르거나, 식물 줄기에 거꾸로 매달려서 움직이는 진딧물의 원리를 적용하여 메타물질의 3D조립에 이용
성균나노과학기술원 이승우 교수
진딧물이 끈끈한 물질 없이 벽을 기어오르거나, 식물 줄기에 거꾸로 매달려서 움직이는 원리를 이용, 기존 2차원 조립에 머물러 있던 트랜스퍼 프린팅을 3차원 조립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확장. 이와 같은 생체모사 3D 트랜스퍼 프린팅을 이용, 비자연적 극한광학 물성을 갖는 메타물질을 3D조립하는데 이용함.
본 연구에서는 메타물질 구조적 다양성을 실험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조립공정기술을 개발했다. 이는 진딧물 다리의 dry-adhesion 조절을 모사한 토랜스퍼 프린팅 기술로 가능했다. 진딧물은 끈끈한 물질 없이 벽을 기어오르거나 거꾸로 매달려서 움직일 수 있고 이는 다리와 물체 사이의 붙는 힘을 자유자재로 조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림 1과 같이 진딧물이 다리 뒷꿈치의 혈압을 높여서 부풀어 오르게 하면 물체와 닿는 면적이 최대화 되서 부착힘이 극대화 되고, 반대로 혈압을 낮추면 다리 뒷꿈치가 수축해서 다리가 물체로부터 닿는 면적 및 부착힘을 최소화 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2와 같이 고무 도장을 진딧물 다리를 모사해서 제작했다. 뾰족한 팁을 갖는 고무 도장은 프린팅 하고자 하는 메타물질과의 표면적이 최소화되어 어디든 프린팅이 쉽도록 되지만(adhesion-off), 뾰족한 팁이 뭉그러지게 되면 메타물질/도장 사이의 면적이 최대화 되어 메타물질을 떼어 낼 수 있다(adhesion- on). 고무로 된 팁은 누르는 힘에 의해서 뭉그러지거나, 원래 팁 모양으로 회복될 수 있기 때문에 기판으로부터 떼어내고(트랜스퍼), 프린팅 되는 과정이 고무도장을 누르는 힘 조절로 자유자재로 될 수 있는 것이다.
이 원리를 이용하면 그림 3과같이 메타원자들을 레고 블록 조립하듯이 트랜스퍼 프린팅해서 메타물질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때 메타원자의 종류, 격자구조, 이종물질의 종류, 메타물질 집적 기판의 종류에 제한이 없음을 보여주었고, 따라서 그래핀 투명망또 및 광변조기와 같은 메타물질의 실용적 응용을 앞당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생체모사+ 연성광학 연구실/
2014년 성균나노과학기술원에 (성균관대 나노과학기술학과 대학원, SKKU Advanced Institute of Nanotechnology(SAINT))설립, 이승우 교수의 지도로 박사후연구원 1명, 석박통합 3명, 학부연구생 3명이 열심히 연구하고 있다. 생체모사를 또는 DNA 오리가미/고분자와 같은 스마트 연성나노물질을 이용하여 다양한 빛-물질 상호작용들을 혁신하는 연구를 수행 중이다. 특히 꽃잎의 구조색, 사하라 사막의 개미가 열을 식히는 원리를 모사하여 태양전지/LED와 같은 광전자소자 효율을 높이거나, DNA를 이용 알고리즘 자리조립으로 비자연적 극한 광학 물성을 유도하는 “알파고 메타물질”연구를 수행 중이다. (seungwoo.skku.edu)
화학공학/나노바이오/나노화학/물리/재료공학/전자공학의 다양한 학문적 융합을 추구한다. 실제 화학공학, 물리, 전자공학, 화학을 전공한 학생들이 모여서 창의적 융합연구를 수행중이다. Harvard에서 열리는 생체분자디자인 경진대회 참석 및 MIT/Harvard/Caltech 대학교와의 공동연구 등 다양한 국제협력도 진행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