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교시 / 교목 / 교가

교목 (은행나무)

한국 유학의 본산인 성균관대학교 명륜당 앞뜰에는 두 그루의 은행나무가 마주 서 있다.봄에 나뭇잎을 피워 여름에 그늘을 만들고 가을이면 노란 낙엽을 흩날리기 600여년, 지금은 한평생을 해로한 노부부처럼 자애로운 눈길로 여전히 이 한국 유학의 본산을 지키고 있다.
명륜당 은행나무는 천연기념물 제59호(1962년 12월 3일 지정)로 나무의 높이 약 21m, 가슴높이 줄기 둘레 7.3m, 가지 퍼짐 동-10.5m, 서-12.0m, 남-10.0m, 북-12.0m이다. 문묘 자체는 조선 태조 7년(1398)에 창건되었는데 임진왜란까지 두 차례에 걸쳐 소실되어 중건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 은행나무는 문묘가 창건된 다음 심어진 것으로 보이며, 화재를 입은 흔적이 있다. 이 은행나무에는 유주(乳柱)가 발달해 있는데 우리나라 은행나무로서는 매우 드문 일이다. 또한 문묘 은행나무들은 모두 수나무인 것이 색다르다. 일제 강점기에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공자가 은행나무 아래에서 제자들을 가르쳤다는 행단(杏檀)을 상징하여 우리나라 성균관과 향교에는 모두 은행나무를 심었다.
조선조 중종 14년 대사성 윤탁(尹倬)이 이 은행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그 뒤 임진왜란때 명륜당마저 전소되었으나 은행나무는 상처하나 없이 살아 남아, 이 곳이 나라의 원리와 근본을 가르치는 곳임을 말없이 증명하고 있다. 지금도 많은 학생들이 이 곳에서 공부와 인생이야기를 나누며 쉬어 간다.
어쩌면 은행나무도 이들과 함께 세상의 변화무쌍한 모습을 지켜보며 달관의 자세를 배우고 있는지 모른다.

GINKGO, 명륜당 앞뜰 두 그루의 은행나무

명륜당 앞뜰 두 그루의 은행 나무

명륜당 앞뜰 두 그루의 은행 나무

성균관(成均館) 안에 온 뜰을 차지하고 구름같이 솟아 퍼진 커다란 은행나무를 볼 수 있다. 한말(韓末) 우리 겨레의 설움을 보았을 뿐 아니라 임진왜란(壬辰倭亂)도 겪고 좀 더 젊어서는 국태민안(國泰民安)한 시절, 나라의 준총이 청운(靑雲)의 뜻을 품고 명륜당(明倫堂)에 모여 글 읽던 것을 본 기억도 가진 나무다. 이젠 하도 늙어 몇 아름 되는 줄기 한 구석에는 동혈(動血)이 생겨 볼상 없이 시멘트로 메워져 있지만, 원기는 여전히 왕성하여 묵은 잎새 거센 가지에 웬만한 바람이 불어서는 끄떡도 하지 않는 품이, 쓴맛 단맛 다 보고, 청탁을 가리지 않고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거룩한 성자의 모습이다.

- 이양하의 '나무의 위의(威儀)' 중에서

은행나무 심은 뜻은 600여년 전통의 성균관대학교의 상징은 은행나무다. 명륜당의 수령 500여년된 은행나무에서 비롯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성묘(聖廟,공자를 모시는 묘)의 뒷쪽에는 반드시 은행나무를 심었고 이것을 행단이라고 했다. 성묘뿐만 아니라 학문을 강론하는 서당이나 서재(書齋)주변에 은행나무를 심어 행단으로서의 권위를 표시하였다. 일본의 동경대학도 은행나무를 교목으로 삼고 있다.
그러면 이 은행나무에는 어떤 뜻이 숨어있을까? 나름대로 자료를 뒤져보고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해 본다.

01. 강인한 생명력이다.

은행나무는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불리울 만큼 오랜 세월동안 크게 변하지 않고 생존해온 독특한 식물이다. 약 2억년 전인 삼첩기(Triassic)말에 출현하여 쥐라기(Jurassic)에 번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빙하시대가 도래하면서 지구상 대부분의 식물들이 사라졌지만 은행나무만은 살아 남았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은행나무는 경기도 양평에 있는 용문사의 은행나무다. 이 나무는 신라의 마의태자가 나라 잃은 슬픔을 안고 금강산으로 가다가 심었다는 말도 있고, 신라의 유명한 의상대사가 짚고 다니던 지팡이를 꽂은 것이 뿌리를 내리고 자라 오늘의 거목이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어찌 되었든 이 때를 기준으로 나이를 추정하면 1100살 이상 되었을 것이라고 한다.

銀杏은 공손수(公孫樹)라는 이름도 가지고 있는데 이 나무가 장수하는 성질을 가져 결실연령(結實年齡)이 길다는 데서 얻어진 것으로 풀이 된다.
즉 심은 사람 당대(當代)에는 결실하지 않고 손자대(孫子代)에 가서 결실한다는 뜻이다. 은행나무는 암, 수가 따로 있는 몇 안되는 나무중 하나다.
봄에 꽃이 피면 숫나무의 화분은 바람을 타고 2km까지 날아간다. 암꽃의 주공에 들어간 화분은 그 안에 오래도록 머무르고 가을이 되어 종자가 성숙하기 직전에 정충(精蟲)을 밖으로 내어 난세포(卵細胞)가 들어 있는 장란기(藏卵器)안으로 들어가 난세포와 합치는 소위 수정(受精)을 하게 된다. 은행나무의 화분이 정충을 가졌다는 사실은 1896년 동경대 히라세 (平瀨作五郞)교수가 발견하여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은행나무가 가로수로 널리 심어진 이유는 사시사철 모습이 아름다운 이유도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강인한 생명력 때문이다. 스스로를 유지하는 힘이 강하여 해충이 거의 접근하지 못하며 한냉지에서도 잘 자란다. 은행나무는 영고성쇠를 반복하는 인간의 분주한 삶과 함께 유유히 성장해왔다. 인간의 생명이 짧은 역사의 한 장면에 지나지 않는데 비해 은행나무는 그 장구한 생명력을 지녀 왔다. 은행이 신기한 것은 고생대로부터 그 모습이 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진화론으로 유명한 다윈은 은행나무의 불가사의함을 일컬어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명명했다.

국가나 사회의 영원한 생명력은 바로 '교육'에 있다. 옛부터 "1년의 計는 곡식을 심는데 있고, 10년의 計는 나무를 심는데 있으며, 100년의 計는 사람을 키우는데 있다" 하였다. 우리 선조들이 성균관에 은행나무를 심을 때,아마 은행나무의 강인한 생명력처럼 교육을 통해 국가와 사회가 千年 萬年 영원할 것을 기원하였을 것이다.

02. 올곧은 선비의 기품이다.

은행나무는 재질이 아주 단단하고 병충해에도 강하여 선비의 기상이 들어있다. 은행나무는 그 몸 속에 '플라보노이드'라는 살균, 살충 성분이 있다.
이 성분은 갖가지 벌레의 유충, 식물에 기생하는 곰팡이, 바이러스 등을 죽이거나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왕성한 식욕을 가진 딱정벌레도 굶어 죽을 지언정 은행잎을 먹지는 않는다. 노랗게 물든 은행잎을 책갈피에 끼워 두는 풍습은, 이렇게 하면 책에 좀이 슬지 않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농가에서 거름을 만들 때에도 은행잎을 섞어 만들면 흙 속의 해로운 미생물이나 벌레들을 죽일 수 있다. 은행나무는 매우 강건해서 병들거나 벌레 먹는 일이 없을 뿐더러 공해에 대한 적응력이 대단히 강하다. 난세에도 자신의 지조를 굽히지 않고 九結九蟲을 몰아내는 선비의 정신이 여기 있다.

은행나무를 화두목이라고도 하는데 은행나무가 유난히 불에 강하기 때문에 붙인 별칭으로 생각된다. 은행나무는 방화(防火)와 내화(耐火)의 힘이 모두 강하다.
수목의 내화성(耐火性)이란 나무가 일단 불의 피해를 받은뒤 그 나무의 재생력(再生力)을 표시하는 정도를 말한다. 방화성(防火性)이란 수관(樹冠)의 살아 있는 가지와 잎에 의한 열(熱)의 차단 효과와 인화시간의 지연 및 연소방지에 도움이 되는 성질을 말한다. 은행나무는 화재를 당했을때 줄기 껍질이 터지면서 물을 뿜어내어 오히려 불을 잡았다는 기록이 곳곳에 남아 있을 정도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장치와 지혜를 지니고 있어서 유구한 지질시대의 시간을 살아올 수 있었다고 풀이된다.

은행나무를 압각(鴨脚)이나 압장(鴨掌)이라 하는데 이는 은행나무의 잎 모양이 오리발과 흡사하다는 뜻이다. 은행나무잎은 낙엽이 질 때까지 빳빳하게 그 고귀한 기품을 잃지 않아 선비의 기개를 보는 듯 하다.

03. 널리 인간에게 이로운 弘益人間의 정신이다.

은행나무는 "황금의 나무"라는 별명에 조금도 모자람이 없는 실로 위대한 나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나는 것은 다른 나라 것보다 유효성분의 함량이 20배에서 100 배나 많아서 독일 등에서 수입하려고 열을 올리고 있다. 은행나무는 활용하기에 따라 어쩌면 우리나라를 먹여 살릴 수 있는 보물나무라고 해도 손색이 없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은행에는 간놀, 펙틴, 히스티딘, 전분, 단백질, 지방, 당분 등이 많이 들어 있어서 폐결핵 환자나 천식 환자가 오래 먹으면 기침이 없어지고 가래가 적게 나오는 약리작용이 있다.

은행의 또다른 작용에는 레시틴과 비타민 B의 모체가 되는 엘고스테린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서 성욕감퇴, 뇌빈혈, 신경쇠약, 전신피로 등에 뇌혈관을 개선해 주는 효능도 있다. 그러나 은행알을 날로 먹거나 한꺼번에 많이 먹는 것은 좋지 않다.
「동의보감」에 많이 먹으면 배 아픔, 구토, 설사, 발열 증세가 있을 수 있다고 쓰여 있다. 은행보다 더 놀라운 효능이 있는 것은 은행잎이다.
예로부터 민간에서 심장을 돕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며 폐를 튼튼하게 하고 설사를 멈추게 하는 등의 효능이 입증되어 가슴앓이, 가래, 천식, 설사 등을 치료하는 약으로 널리 써 왔다. 은행잎에 들어 있는 성분인 징코라이드 A,B,C와 진놀, 프라보놀 등은 말초혈관 장애, 노인성 치매 등을 치료, 예방하는 획기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현대의학에서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은행나무는 아름답고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뛰어나 조경수로, 종자는 식용과 약용으로, 잎은 약재로 그리고 목재는 바둑판, 조각재 등의 고급재로 사용되고 있다.

은행나무는 위대한 나무다. 웅장하고 아름다운 자태, 고결하고 예스런 품격, 천년을 넘게 사는 긴 생명력, 어느 것 하나 버릴 것 없는 쓰임새 ... 실로 "황금의 나무"라는 별명에 모자람이 없는 나무이다. 널리 인간에게 이로운 홍익인간의 나무가 바로 은행나무다.
仁義禮智, 實事求是 , 弘益人間의 교육목표를 추구하는 Gingko(King go)인들은 은행나무 배지를 보면서 이 숨은 뜻을 새겨 보아야 할 것이다.

  • 상기 콘텐츠 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