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성대뉴스

미술학과 김계원 교수, 일본 사진사 연구서 <사진 국가: 19세기 후반 일본 사진(들)의 시작> 출간 2023.06.08
  • 홍보팀
  • 조회수 : 5446
게시글 내용

미술학과 김계원 교수, 일본 사진사 연구서

<사진 국가: 19세기 후반 일본 사진(들)의 시작> 출간

- 국내 최초의 일본 사진사 연구서 출간

-  근대 초입에서 공유된 사진의 힘을 면밀히 살펴보다



미술학과 김계원 교수가 국내 최초의 일본 사진사 연구서 『사진 국가: 19세기 후반 일본 사진(들)의 시작』(현실문화A)를 출간했다.


광학 기술에서부터 화학 및 재료, 카메라 강국, 그것도 모자라 배에 무거운 카메라를 싣고 조선에 들어와 전국을 돌며 사진을 찍고 조사하여 출판과 전시, 아카이빙을 했던 나라. 세기의 언어로 ‘문명국’, 지금의 언어로 제국이 아니면 불가능한 프로젝트를 수행한 ‘사진 국가’ 일본. 『사진 국가』는 19세기 중후반부터 사진과 국가 간의 연대 혹은 공모가 개시되었던 시점에 주목해 19세기 기록 사진의 정치적 의미를 살핀다.


막부 말기와 메이지 시기의 일본은 사진의 힘, 사진의 문명적 활용 가능성을 철저하게 파악하고자 했다. 저자 김계원 교수는 그렇게 해서 확립된 것이 사진을 매개로 한 근대적 기록, 정보화, 시각화의 체계였다고 말한다. 사실 이 체계의 무서운 힘은 식민지 조선에서도 어렵잖게 볼 수 있다. 조선의 고고학, 민속학, 인류학적 조사 사진을 비롯해, 식물, 어류 등의 자원에 이르기까지 식민지 조선에 관한 거의 모든 것을 사진으로 담고 있는 제국 일본의 아카이브를 대면하게 되면, 한편으론 그 치밀함에 소름이 돋으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그 방대한 양적 규모에 놀라게 된다. 저자는 식민지 아카이브 사진의 기원이 바로 메이지 초기의 이 기록 사진에 연원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근대의 초입에서 일본이 이처럼 사진을 절실히 필요로 했던 것이 무엇 때문이었을까? 저자인 김계원 교수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 통상적인 사진의 역사가 중점을 두고 기술하는 사진가 개인의 표현 능력 문제를 훌쩍 넘어서야 한다고 말한다.


그래서 『사진 국가』는 이미 19세기 중후반부터 만개한 사진에 관한 다양한 언어와 담론, 그리고 사진 관련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다양한 주체들의 노력, 사진이 국가 공무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한 주체인 관료(공무원)와 그들이 만들어낸 수많은 계기, 1930년대에 이르러 지역의 민간인이 사진과 국가의 연대를 적극 도모하는 일 등을 꼼꼼하게 추적한다. (영업) 사진가와 지식인 관료, 국가, 지역민 모두가 문명개화, 나아가 제국의 팽창을 향해 질주하는 프로젝트에서 ‘사진 국가’는 필연적인 산물이었을 것이다.


『사진 국가』는 이처럼 사진의 쓰임새가 공적으로 사회화되는 계기에 초점을 맞추면서, 사진의 다양한 활용에 담긴 이야기를 충실히 기술한다. 일본 사진, 나아가 한국 사진의 출발점을 알고 싶은 독자에게 『사진 국가』는 놀랍고도 풍부한 역사적 정보와 시각 이미지를 제공한다.

○ 관련 언론보도

 - 김계원 성균관대 교수, 국내 최초 일본 사진사 연구서 출간 <뉴스1, 2023.06.08.>
 - 김계원 성균관대 미술학과 교수, 일본 사진사 연구서 ‘사진 국가: 19세기 후반 일본 사진(들)의 시작’ 출간 <스마트경제, 2023.06.08.>
 - [신간산책] 사진 국가: 19세기 후반 일본 사진(들)의 시작 <베리타스알파, 2023.06.08.>

 - [CHECK책] 일본은 왜 식민지 조선의 모든 것을 사진에 담았을까 <한국대학신문, 2023.06.08.>

이전글 2023 국제금융계량경제학회(SoFiE) 국제컨퍼런스 개최
다음글 윤원섭 교수, 유필진 교수 공동연구팀, 수소 생산 효율 높인 음이온 교환막 촉매 개발
  • 상기 콘텐츠 담당
  • 홍보팀 ( 02-760-11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