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학과 송충의 교수 연구팀, 물속에서 양성자의 거동 제어를 통한 생체 효소반응의 완전한 모방
화학과 송충의 교수(문행석좌교수) 연구팀은 통제가 거의 불가능한 물속에서 양성자의 매우 빠른 거동 제어를 통해 다양한 생체효소반응의 완전한 모방이 가능한 것을 밝혔다.
- No. 191
- 2021-02-22
- 933
-
첨부파일 ( 0 )
-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이준엽 교수-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최현호 상무 공동 연구팀, 청색 OLED 초격차 신기술 개발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이준엽 교수-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최현호 상무 공동 연구팀, 청색 OLED 초격차 신기술 개발
- No. 190
- 2021-02-18
- 2430
-
첨부파일 ( 0 )
-
생명과학과 윤환수 교수, 양식미역이 자연산보다 유전적 다양성 높다는 연구 발표
생명과학과 윤환수 교수가 양식미역이 자연산보다 유전적 다양성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 No. 189
- 2021-02-18
- 1526
-
첨부파일 ( 0 )
-
신소재공학부 조형균 교수 연구팀(김영빈 박사과정),물분해 수소 발생용 상복합구조 소재 개발로 광전류 급증과 교류전압 구동형 시스템 제시
신소재공학부 조형균 교수 연구팀(제1저자 김영빈 박사과정)이 교류전압에서 구동하는 고성능 태양광 물분해 시스템을 구현했다고 밝혔다.
- No. 188
- 2021-02-16
- 1265
-
첨부파일 ( 0 )
-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박남규, 신소재공학부 김상우 교수 공동연구팀, 직류 마찰 발전기 최초 개발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박남규 교수(교신저자)와 마춘칭 박사(제1저자)가 신소재공학부 김상우 교수(교신저자) 및 김보성 연구원(공동 제1저자)과 함께 직류 마찰 발전기를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 No. 187
- 2021-02-08
- 2508
-
첨부파일 ( 0 )
-
신소재공학부 김상우 교수, 정전기로 '고전압 플라즈마' 만들 원천기술 개발
신소재공학부 김상우 교수 공동 연구팀은 정전기로 '고전압 플라즈마' 만들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 No. 186
- 2021-02-03
- 293
-
첨부파일 ( 0 )
-
약학대학 신주영 교수 연구팀, 한국 여성청소년에서의 자궁경부암 백신 예방접종 안전성 입증
약학대학 신주영 교수 연구팀(1저자 윤동원 연구원, 공저자 이혜성 박사)이 한국 여성청소년에서의 자궁경부암 백신(Human papillomavirus vaccine) 예방접종에 대한 안전성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 No. 185
- 2021-02-02
- 1695
-
첨부파일 ( 0 )
-
엽록체 진화의 미스테리, 광합성 아메바 연구로 밝히다
생명과학과 윤환수 교수 연구팀(이덕현 박사, 조충현 대학원생)이 미국 럿거스대학 Bhattacharya 교수와의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광합성 아메바인 폴리넬라(Paulinella micropora)의 유전체를 해독하여 식물과는 다른 기원을 가진 엽록체의 진화과정을 밝혀냈다.
- No. 184
- 2021-02-01
- 1133
-
첨부파일 ( 0 )
-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대면적 이황화몰리브데넘-이황화텅스텐 수직이종구조 제조 원천기술 개발 성공
기계공학부 김태성 교수, 석지원 교수, 한국기계연구원 김형우 박사 공동연구팀(1저자 석현호, Yonas T. Megra, Chaitanya Kanade)이 ‘4인치 웨이퍼 크기의 이황화몰리브데넘-이황화텅스텐(MoS2-WS2) 수직이종구조 단일공정 제조’ 원천기술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 No. 183
- 2021-01-29
- 2074
-
첨부파일 ( 0 )
-
신소재공학부 황동목 교수 연구팀, 이론적 한계를 뛰어넘은 초고감도 그래핀 이온 센서 개발
신소재공학부 황동목 교수 공동 연구팀은기존의 이온 선택성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ISFET)의 이론적 한계를 극복한 초고감도 그래핀 이온 센서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세계적 권위지인 ‘나노 레터스 (Nano Letters, IF=11.238)’ 21권 1호에 표지 논문으로 선정되었다.
- No. 182
- 2021-01-25
- 1477
-
첨부파일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