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성대뉴스 - 연구

SAINT 배완기 교수 연구팀, 미래형 차세대 디스플레이 상용화 앞당길 양자점 기술 개발 2023.07.05
  • 홍보팀
  • 조회수 : 5078
게시글 내용

SAINT 배완기 교수 연구팀, 미래형 차세대 디스플레이 상용화 앞당길 양자점 기술 개발

- 핵심 발광 소재인 I-III-VI2족 코어-쉘 친환경 양자점 소재 합성법 개발

- VR, AR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



성균나노과학기술원 배완기 교수 연구팀은 미래형 디스플레이 구현을 위한 핵심 발광 소재인 I-III-VI2족 코어-쉘 친환경 양자점* 기술을 개발했다.

  * 양자점: 나노미터 크기의 반도체 나노 입자로서, 빼어난 색순도와 높은 효율을 지니는 미래형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양자점은 빼어난 색 재현율과 높은 광효율을 가지고 있으며 용액 공정이 가능하다는 특성으로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디스플레이와 같은 미래형 디스플레이 구현을 위한 핵심 발광 소재로써 주목받고 있다. 특히 I-III-VI2족 양자점은 크기와 조성을 조절하여 광학 특성을 제어할 수 있으며 높은 흡광도를 가져 차세대 친환경 소재로서 각광받았다.


하지만 I‑III‑VI2족 양자점은 적합한 쉘 물질 조성의 한계로 에피택시(epitaxy)* 성장이 어렵고 원소 간 반응성 차이에 의해 높은 광효율을 가지는 양자점 합성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연구진은 신규 전구체*를 도입해 I-III-VI2-­족 코어 위에 I-III-VI2족 쉘을 에피택시 성장시켜 높은 광효율을 가지는 I-III-VI2-­/I-III-VI2족 양자점 소재 합성을 최초로 개발하였다. 또한 습식화학*기법을 통해 코어 물질의 조성을 정교하게 조절하여, 가시광선 전 범위에서 높은 광효율을 구현하였다.

  * 에피택시: 하나의 결정체에 규칙적으로 바르게 배열된 결정이 성장하는 현상

  * 전구체: 다른 화합물을 생성하는 화학 반응에 참여하는 화합물

  * 습식화학: 비색법, 중량 측정법, 적정 분석법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액체 시료의 원소 및 화합물을 분석하는 실험 방법


연구팀은 나아가 태양광 집속기* 소자를 통해 기존 II-VI족, III-V족 양자점 소재 대비 I-III-VI2­-양자점 소재의 높은 흡광도에 따른 우수성을 입증하여 궁극적으로 I-III-VI2­-­족 친환경 양자점 소재의 실용화를 가시화하였다.

  * 태양광 집속기: 태양광 에너지를 집중시켜 태양광 전지판에 도달하는 에너지를 증가시키는 장치로 태양광 전지판이 더 많은 태양광 에너지를 수집하고 전기로 변환할 수 있다.


배완기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소재 조성의 선택이 제한적인 친환경 양자점에서 I-III-VI2-­/I-III-VI2족 신규 양자점 조성 물질의 구현을 처음으로 보고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하였고 박지상 교수는 "기존의 연구되었던 II-VI족, III-V족 양자점 대비 I-III-VI2족 양자점의 우수한 광특성을 실험적으로 입증한 최초의 사례"라고 이번 연구를 평가하였다. 또한 황의헌 교수는 "더 적은 소재로 동일한 광학 성능을 구현할 수 있어 QD-OLED, VR, AR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을 촉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의 이번 연구성과는 종합 과학 분야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IF: 17.694)에 6월 24일(토) 온라인 게재되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함께달리기),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전자 기본사업의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 논문명: Coherent heteroepitaxial growth of I-III-VI2 Ag(In,Ga)S2 colloidal nanocrystals with near-unity quantum yield for use in luminescent solar concentrators

※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 저자명: 배완기 교수(교신저자, 성균관대학교), 장준혁 박사(교신저자, 시카고대학교), 송형준 교수(교신저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학준(제1저자, 서울대학교 석박통합과정), 임성빈(제1저자, 성균관대학교 석박통합과정), 정동주(제1저자, 성균관대학교 석박통합과정), 황의헌(공동저자, 성균관대학교 교수), 박지상(공동저자, 성균관대학교 교수)

이전글 대학혁신과공유센터, 제19회 융합기초프로젝트 개최 통해 스타트업 지원 강화
다음글 에너지과학과 최경민 교수, 세계 최초로 전자 궤적을 야구 변화구처럼 제어하는 데 성공
  • 상기 콘텐츠 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