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Research Stories

게시글 검색
  •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박남규 교수 "2017 노벨화학상 수상가능 우수연구자" 선정 - 인터뷰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박남규 교수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박남규 교수 "2017 노벨화학상 수상가능 우수연구자" 선정 - 인터뷰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 “2017년 피인용 우수 연구자” 발표 에너지효율이 높은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에 대한 연구 인정받아 한국인으로는 유일하게 선정 연구분야 저의 연구분야는 에너지변환효율이 높은 태양전지를 개발하는 것입니다. 태양전지는 빛을 전기로 변환하는 소자입니다. 이러한 소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빛을 잘 흡수하는 광흡수체가 매우 중요합니다. 값싼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태양전지를 값싸게 만드는 것도 중요합니다. 따라서 빛 흡수가 우수하면서 값싼 재료를 찾는 일은 매우 흥미롭고 가치 있는 일 입니다. 제가 관심을 가진 태양전지 분야는 나노산화물과 유기염료를 이용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물질의 크기를 나노크기로 매우 작게 하면 양자효과에 의하여 빛의 흡수 파장이 변하는 양자점 태양전지, 그리고 유무기 복합 광흡수 물질을 이용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입니다. 태양전지에서 중요한 세가지는 효율, 수명 그리고 가격입니다. 이 세가지는 발전단가를 결정하게 됩니다. 특히 값싼 재료를 이용해 효율이 높은 태양전지를 만드는 것은 언제나 태양전지 분야에서 흥미롭고 도전적인 일입니다. 고효율의 핵심에는 항상 우수한 광흡수 물질이 있습니다. 메틸암모늄 레드아이오다이드 (Methylammonium Lead Iodide) 페로브스카이트는 지금까지 알려진 그 어떤 물질보다도 광흡수 특성이 매우 뛰어나면서 제조공정도 매우 간단합니다. 밴드갭도 1.4-1.6 eV 로 가시광 전영역을 흡수하는데 매우 적합한 물질입니다. 저희 연구팀은 2012년 최초로 고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하였습니다. 연구선정배경 저의 태양전지 연구의 시작은 1997년 미국재생에너지연구소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시절부터 시작됩니다. 유기염료를 이용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효율을 높이는 연구를 하였습니다. 1999년 말 귀국하여서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에서 계속해서 염료감응 태양전지 연구를 이어나갔습니다. 하지만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유기염료의 낮은 광흡수 특성 때문에 실리콘 태양전지처럼 높은 효율이 가능하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염료를 대체할 높은 광흡수 물질을 찾는 것이 저의 큰 관심사였습니다. KIST 재직시절인 2007년 스위스 생갈렌 (St. Gallen)에서 개최된 나노유로 2007 컨퍼런스에 초청되었습니다. 발표자들 중 일본 토인대학의 미야사카 교수는 페로브스카트 물질을 유기염료 대신 사용한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하지만 효율이 2-3% 수준으로 매우 낮아 참가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했습니다. 저는 석사 및 박사과정 (지도교수 최진호)에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합성하고 특성을 연구하였기 때문에 미야사카 교수의 연구결과에 매우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더 높은 효율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여 연구를 시작하였습니다. 2009년 미야사카 교수 연구팀이 미국화학회지 (Journal of American Chemical Society)에 3-4% 수준의 액체전해질을 이용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발표하였습니다. 하지만 2009년, 2010년 논문은 단 한번도 인용되지 않았습니다. 효율이 낮았기 때문입니다. 2009년 성균관대학교에 부임하면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전념한 결과 2011년 저희 연구팀은 나노스케일 (Nanoscale) 에 두 배로 높은 6.5% 효율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발표하였습니다. 페로브스카이트 용액의 농도와 공정조건을 변화시켜 효율 상승을 가능케 하였습니다. 하지만 2011년 우리의 연구결과도 같은 해 한번도 인용되지 못했습니다. 액체전해질을 이용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이 액체에 쉽게 녹아 안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후속 연구자들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액체전해질 대신 고체 홀전도체를 사용하여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그 결과 저희 연구팀은 9.7% 효율과 500 시간 안정한 고체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최초로 개발하여 2012년 네이처에서 출판하는 사이언티픽리포트 (Scientific Reports)에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고체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발표는 전세계 연구자들의 관심 의 대상이 되면서 폭발적 후속연구를 이끌어 내었습니다. 2012년 이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연구논문의 발표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2016년 한 해에 2000편 이상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으며, 더 많은 연구결과가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습니다. 오늘에 이르기까지 아직 노벨상 수상자로 선정된 것은 아니지만 노벨상을 받을 것으로 예측되는 연구자 명단에 이름이 올라간 것만으로도 개인적으로 매우 영광이며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는데도 기여한 것 같아 흐뭇합니다. 이와 같은 결과가 오기까지 특별한 비결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솔직히 저는 연구가 재미있고 즐겁습니다. 늘 새로운 것을 발견하고 최초와 최고에 도전하는 일이 즐겁습니다. 무엇보다도 태양전지 한 분야에서 20년 이상 연구할 수 있었던 것도 행운이었습니다. 한 분야의 연구를 하였기에 전세계의 우수한 연구자들을 만날 수 있었고 함께 연구할 수 있는 기회도 많았습니다. 따라서 저와 함께 연구하는 학생들과 공동연구를 하는 전세계 연구자들의 도움과 협력이 없었다만 오늘의 연구결과도 없었을 것 입니다. 한국인 노벨상 수상자 한국에서 노벨상이 아직 나오지 않는 것에 대하여, 그리고 이웃나라 일본과 비교해서 노벨상 수상자가 없는 것에 대하여 전국민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연구자의 한 사람으로서도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한국은 일본과 유럽 등에 비해 과학기술 분야에서 역사가 그리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많은 노벨상 수상자와 국가가 그러했듯이 기초와 응용 모든 분야에서 오랜 연구기간과 연구의 성과를 단기간에 요구하지 않고 기다려주는 문화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연구자들은 대부분 혼신의 열정으로 연구에 임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자신들이 만들어 낸 연구의 성과가 국가의 위상을 높이고 인류의 행복에 기여하길 바라고 있습니다. 한국의 경제력이 세계 10위가 될 수 있었던 비결에 연구개발의 노력 덕분이라는 인식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제 한국도 연구개발에 적극적인 투자를 하고 있고 연구성과를 요구하는 것 보다 기다려주는 문화도 차츰 정착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는 노벨상 수상자가 많이 배출될 것 기대합니다. 연구발전방향 제언 장기적인 학문 발전을 위해서는 연구자들이 마음 놓고 즐겁게 연구에 매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연구현장의 생생한 이야기를 가감 없이 전달되어 반영될 수 있는 시스템도 필요할 것 같습니다. 연구자들이 연구에 매진하여 보다 가치 있는 연구결과를 만들 수 있도록 보상을 강화하는 등의 방안을 개발할 필요도 있습니다. 글로벌프론티어 사업과 같은 큰 규모의 집단 연구도 필요하며, 개인 연구자의 창의적 연구를 도와주는 창의과제와 같은 과제를 더 확장하여 우수한 연구자를 발굴할 필요가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과학기술자가 존경 받고 존중 되는 문화가 정착되어 연구자가 자부심을 가지고 연구할 때 과학기술의 지속적 발전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세계연구자들을 위해 과학기술은 21세기에 들어오면서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기술이 끊임없이 나타나고 존재하는 기술이 빠르게 사라지는 모습을 느낄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소비자와 시장이 요구하는 기술은 기초기술 못지않게 중요합니다. 미래의 사회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현재를 설계할 수 있는 연구자의 자세가 필요한 때 입니다. 최근의 추세로 보면 응용분야에서는 새로운 기술이 상업화되는 경우 노벨상의 대상이 되는 것을 봅니다. 새로운 기술은 하루 아침에 만들어 지지 않습니다. 여러 번의 개선기술을 통해 완전히 새로운 기술이 탄생될 수 있습니다. 한 분야에서 집적된 지식이 주변기술과 융합될 때 완전히 새로운 기술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러한 모든 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연구자 개인과 국가의 벽을 허물고 공동연구를 하길 권합니다. 오늘 우리가 개발한 기술의 생명은 그리 길지 않다는 생각으로 새로운 기술에 끊임없이 도전한다면 우수한 기술이 많이 나올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 No. 58
    • 2018-07-03
    • 3570
  • 상처 봉합하고 사라지는 다공성 나노입자 개발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이기라 교수

    상처 봉합하고 사라지는 다공성 나노입자 개발

    피부 상처에 바르면 치료 후 녹아서 사라지는 물질 화학공학/고분자공학과 이기라 교수팀과 김재윤 교수팀은 공동연구를 통해 찢어진 피부 상처에 바르면 상처가 빠른 시간 내에 강하게 봉합되고, 상처가 치료된 후 녹아 사라지는 다공성 나노입자 용액을 개발했다. 피부에 난 상처에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를 바르면 나노입자의 높은 표면적 때문에 양쪽 피부 상처 부위의 생체고분자가 표면적이 높은 다공성 나노입자의 표면에 강하게 흡착해 상처가 쉽게 봉합된다. 특히, 연구진은 다공성 나노입자의 기공의 크기를 조절하여 기공이 없는 나노입자에 비해 10배 이상 적은 양을 쓰고도 10배 이상의 접착 강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동물실험을 통해 기존의 실을 이용해 꿰매는 방식이나 최근에 상용화된 화학접착제를 활용한 것에 비해 상처 치료 방법이 매우 간단하며, 생체적합성이 높고, 상처 치료 이후 흔적이 전혀 남지 않는 특징이 있음을 밝혔다. 상처가 봉합된 후에는 몸속에 있는 여러 가지 이온들 때문에 다공성 실리카 입자가 쉽게 분해됨으로써, 나노입자가 몸에 전혀 남아 있지 않아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상처봉합제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연구재단의 선도연구센터, 다공성 나노입자 소재은행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계면 재료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ACS Applied Materials and Interfaces (Impact Factor:7.504) 8월 24일자 온라인에 게재*되었다. *논문명: Colloidal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s as Strong Adhesives for Hydrogels and Biological Tissues *저자: 김주형 (연구원), 김호대 (석사과정), 최영진 (박사과정), 이두성 (교수), 김재윤 (부교수), 이기라 (부교수) 연구팀은 향후 나노 입자의 기공 내에 치료물질을 도입하여 봉합과 동시에 치료기능까지 보유한 다공성 나노입자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 No. 57
    • 2018-07-03
    • 6022
  • 수출에 따른 학습에 대한 다중 중재 모형(Multimediation model): 수출에 의한 생산성 증가 분석

    SKK GSB 케일럽세 교수

    수출에 따른 학습에 대한 다중 중재 모형(Multimediation model): 수출에 의한 생산성 증가 분석

    수출로인한 학습은 기업이 해외 수출을 통해 학습하고 이러한 학습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는 현상을 설명한다. 이 현상은 국제 비즈니스, 경제, 경영전략 등 여러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몇몇 연구자들은 이 현상을 설명할 경험적 증거들을 찾아냈다. 글로벌 시장은 경쟁 속에서 성장하고 있다. 수출을 통한 학습(LBE, Learning by Exporting)에 대한 완벽한 이해는 학계, 경영자, 그리고 정책 입안자들에게 유용한 지식이 될 것이다. 최근 Caleb H. Tse 교수와 공동 연구진들이 발표한 논문은 이전의 연구들이 수출을 통한 학습 효과의 실존 여부를 밝히는 것에만 집중했지 그것으로 인해 발생하는 정교한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간과해 왔다고 주장한다. 집필자들은 LBE효과의 중재 메커니즘(mediating mechanism)을 검증하는 이론적 모형을 개발하였고 , 인적자원의 향상 뿐만 아니라 혁신의 특정 매커니즘 및 생산능력의 향상을 통해 기업이 지식을 습득하고 학습하며 더욱 생산적이 된다는 이론을 제시하였다. 본연구진은 2001년부터 2007년까지 7년 동안 250,000개의 중국 소재 기업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LBE효과뿐만 아니라 이러한 중재 메커니즘의 명확한 경험적 증거들을 발견했다. 또한, LBE효과의 다양한 경계 조건(boundary conditions)들도 밝혀냈다. 수출 비중이 중간 정도인 업종이나 신제품 개발 비중이 중 또는 상인 민간기업들은 국영 기업들에 비해 더 많은 학습을 한다. 본연구는 기업이 수출을 통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확인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을 분명히 말한다. 또한, 정책 입안자들이 기업과 업계가 LBE효과를 자본화하는 환경을 어떻게 조성해야 하는지도 제시한다.

    • No. 56
    • 2018-07-03
    • 2604
  • 동태적 선거모형을 이용한 미국 주지사의 임기제한에 대한 실증연구

    경제학과 윤참나 교수

    동태적 선거모형을 이용한 미국 주지사의 임기제한에 대한 실증연구

    이 연구는 정치경제학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동태적 선거모형 (dynamic games of electoral competition)을 실증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현대 민주주의사회에서 선거는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선거를 통해 유권자들은 자신들과 정치적 성향이 비슷한 후보에 대한 지지를 나타내는 한편 업무수행 능력이 떨어지는 정치인은 재선에 실패해서 물러나게 하기도 한다. 이러한 선거를 이론적으로 분석한 선행연구들은 정치인의 임기를 제한하는 임기제한제도와 같은 선거제도가 선거결과와 유권자의 후생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에 대한 실증연구는 미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계량경제학적 방법론을 적용해서 선거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실증분석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미국의 주지사 선거 자료를 이용해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상당수의 정치인들은 재선에 성공하기 위해 첫번째 임기에 의도적으로 온건한 (moderate) 정책을 선택해서 많은 유권자의 지지를 받으려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치인들의 정치적 성향은 정당간에 큰 편차가 있는반면 업무수행 능력은 정당간에 큰 편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권자들은 후보들의 정치적 성향과 업무수행 능력 사이에서 상당한 trade-off 를 직면하게 되고, 실제로 더 능력있는 후보일 경우 덜 온건한 정치성향을 보이더라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 주지사의 임기를 2기로 제한하는 임기제한제도가 유권자의 후생을 6%정도 하락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임기가 늘어남에 따라 기존정치인에 대한 불신 혹은 피로감등으로 인해나타나는 부정적 효과 (negative tenure effect)가 조금만 더 커져도 임기제한은 유권자의 후생을 증진시키는 제도가 될 수 있음을 보였다. 윤참나 교수는 “이번 연구의 성과는 이론적 분석에만 머물고있던 선거제도의 대한 기존의 논의를 통계적 방법을 이용해 이론에 기반한 실증분석 (theory-based estimation) 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중요한 분석의 틀을 마련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미국의 주지사 선거뿐만 아니라 향후에는 세계 각국의 다양한 선거제도들을 보다 심도있게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경제학분야 최고의 저널인 American Economic Review에 게재 되었다.

    • No. 55
    • 2018-07-03
    • 4227
  • 국제우주정거장의 대형 우주실험에 국산 최첨단 기기 최초 설치

    물리학과 박일흥 교수

    국제우주정거장의 대형 우주실험에 국산 최첨단 기기 최초 설치

    물리학과 박일흥 교수 연구팀이 제작한 최첨단 실리콘 전하량 검출기가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우주의 비밀을 탐구한다. 세계 최고성능의 이 검출기는 미항공우주국(NASA)의 ISSCREAM이라 불리는 대형우주실험의 가장 중요한 기기로써, 14일 미국 케네디 우주센터(NASA-KSC)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리더연구자지원사업 및 도약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ISSCREAM 고에너지 우주선 관측 NASA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한 전하량 정밀 측정을 위한 대형 반도체 검출기를 순수국내기술로 개발, 우주인증에 성공, NASA에 인도했다. 미국의 에너지 검출기와 함께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최종 조립과 시험을 마친 후, 8월 14일 SpaceX사의 Dragon 우주운반선에 실려 국제우주정거장 외부 모듈에 설치되어 적어도 3년간 우주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크기 1 제곱미터, 무게 150kg의 검출기는 NASA의 고에너지우주선 측정 실험에 주 실험기기로 탑재되었다. 순수 국내기술로 제작한 것으로 우주에서 사용되는 검출기로는 최대 크기이며 네 개 층으로 배치된 실리콘 센서들이 우주선의 성분을 세계 최고 성능인 99%의 정확도로 측정한다. 2011년 NASA는 ISSCREAM 프로젝트 승인과 함께, 한국 연구진에게 두 개의 주 실험기기 중 하나를 담당해 줄 것을 요청해 온 데 따른 것이었다. 검출기 개발과 제작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및 중소기업들의 협조아래 성균관대학교가, 우주환경시험은 한국생산기술연구소가 맡는 등 모든 과정을 국내에서 진행하였다. 박일흥 교수는 “국제우주정거장의 대형 우주실험에 국산 최첨단 기기를 설치하는 것은 처음으로 NASA의 주요 우주프로젝트에서 주 탑재기기를 담당한, 실질적, 핵심적, 동반자적 지위로 참여한 사례”라고 의의를 밝혔다.

    • No. 54
    • 2018-07-03
    • 2831
  • 촉매를 이용한 2,5-다이하이드로 옥세핀의 비대칭 합성법 최초 개발

    화학과 류도현 교수 ·심수용 연구원

    촉매를 이용한 2,5-다이하이드로 옥세핀의 비대칭 합성법 최초 개발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류도현 교수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촉매를 이용한 2,5-다이하드로옥세핀 화합물의 세계 최초의 비대칭 합성법 개발에 성공하였다. 산소원자를 포함한 칠각 고리 화합물인 2,5-다이하이드로옥세핀은 항진균, 항암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천연물의 핵심구조이기 때문에 오랜 기간 동안 많은 연구진들의 관심의 대상이었다. 최근까지 해외 유수의 연구 그룹들이 합성법 개발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발표해오고 있지만, 촉매를 이용한 비대칭 합성의 예는 보고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필요한 시작물질을 긴 합성 단계를 거쳐 합성해야 하는 한계점도 가지고 있었다. 류 교수팀은 이번 연구에서 비금속 루이스 산 촉매를 이용하여 카이랄 2,5-다이하이드로옥세핀 화합물을 삼각고리화/역-클라이젠 재배치 (cyclopronation/retro-Claisen rearrangement) 연속반응을 통해 높은 수율과 입체선택성으로 합성할 수 있었다. 개발된 반응은 간단한 구조의 시작물질을 이용하고 질소 가스 부산물만 생성되기 때문에 원자경제성 (atom economy)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성균관대 류도현 교수는 “이번 연구의 의의는 그동안 합성이 어려웠던 산소 함유 칠각고리 화합물인 2,5-다이하드로옥세핀을 간단한 출발물질로부터 촉매를 이용하여 높은 입체선택성으로 합성한 것”이라며 “또한 해외 연구진들이 컴퓨터 계산 연구결과로 제시한 삼각고리 화합물로부터 2,5-다이하이드로 옥세핀이 생성되는 역-클라이젠 재배치 반응의 메커니즘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실험적인 결과를 보고했다는 점에서 연구 가치가 매우 크다”라고 밝혔다. 자연계에는 디하이드로옥세핀을 핵심구조로 지니며 생리활성을 가지는 천연물들이 많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개발된 본 반응을 이용하여 복잡한 생리활성 천연물을 짧은 단계로 합성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합성된 카이랄 디하이드로옥세핀 유도체들은 생물 및 의약화학 분야에 응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 결과는 화학분야 세계적 권위의 화학분야 학술지인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IF: 11.709)'에 2017년 4월 18일 자에 게재되었고,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VIP (Very Important Paper)와 겉표지 논문 (front cover)로 선정되었다. 이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 지원사업 및 기초연구실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제1저자로 참여한 성균관대 심수용 학생 (석박통합과정)은 한국연구재단의 글로벌박사양성사업의 지원을 받고 있다. *논문제목 “Catalytic Enantioselective Synthesis of 2,5-Dihydrooxepines” (제1저자 심수용, 제2저자 조수민, 제3저자 Anipireddy Venkateswarlu, 교신저자 류도현)

    • No. 53
    • 2018-07-03
    • 3486
  • “텔레비전에 내가 나왔으면 정말 좋겠네”하던 동요를 CEO 연봉과 뉴스미디어 빅데이터로 입증해 보여준 논문이 경영전략 탑 저널에 게재

    경영학과 김영한 교수

    “텔레비전에 내가 나왔으면 정말 좋겠네”하던 동요를 CEO 연봉과 뉴스미디어 빅데이터로 입증해 보여준 논문이 경영전략 탑 저널에 게재

    CNBC와의 인터뷰를 한2,666 개미국 기업의 CEO 4,452 명과 뉴스 기사 104,129 개, CNBC 인터뷰 6,567 개를 분석한 새로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터뷰에 출연 한 CEO들은 출연하지 않은 CEO들에 비하여 평균적으로 $ 210,239의 추가적 연봉 인상효가가 있더라는 것이 발견됐다. 물론, 연봉에 영향을 주는 다른 경제학적 요인들을 모두 통제한 다음에도 말이다. 이 연구는 경영전략의 탑 저널로 미국과 여러 나라에서 인정받는 Organization Science에 게재 되었다. 성균관대 경영학과의 김영한 교수(교신저자)와 싱가폴의 난양 경영대의 강진구 교수(주저자)는 1997 년부터 2009 년까지 CEO의 언론 출현이 연봉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연구했다. 이 교수들에 의하면, 노동시장에서 고용자들 역시 제한된 합리성을 가지고 있기 마련이기때문에 어떠한 포지션에 적합한 잠재적 인재의 풀을 모두 알고 있기가 어렵다. 이런 한계때문에 매스미디어의 스폿라이트를 받으면, 그 인재는 노동시장에서 존재감(visibility)이 올라가며, 고용주에 대해서 연봉협상력이 올라가게 된다. 그래서, 자연히 그 사람의 연봉이 다음 해에 올라가는데, 그것을 CEO와 뉴스미디어라는 빅 데이터로 보여준 것이다. 미국 CEO들이 CNBC증권방송에 출연하면 다른 CEO들에 비해 연간 20 만 달러 이상 급여를 더 받게 되더라는 것을 발견했다. 이 논리에 따르면, 회사가 존재감 없이 작은 규모일 때에 미디어의 연봉효과가 강하다. 대기업의 경우 이미 너무나 알려졌기 때문이다. 또한, 회사의 재무성과가 좋을 때에 미디어의 스폿라이트 효과가 큰데, 성과로써 그 사람의 능력에 대한 시그널을 확실하게 보내주기 때문이다. 반대로CEO가 높은 지분을 소유하고 있거나 회사 설립자일 경우에는 연봉효과가 없었는데, 이는 연봉협상을 할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이들은 또한 컴퓨터 코딩에 기반한 언론의 논조 분석을 통해서 언론의 논조가 부정적인 경우는 긍정적이던 연봉효과가 사라진다는 것도 밝혔다.

    • No. 52
    • 2018-07-03
    • 2772
  • 비활성 질소 분자에 대해 선택적 배위 흡착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 개발

    화학과 장종산 교수

    비활성 질소 분자에 대해 선택적 배위 흡착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 개발

    성균관대 화학과 장종산 교수(화학과 학연교수, 한국화학연구원 연구위원)는 최근에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 소재에서의 질소의 선택적 배위에 대한 새로운 개념과 초저온 냉각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질소 함유 혼합기체의 에너지 절약형 흡착분리 기술을 개발하여 '네이처 머티리얼즈 (Nature Materials, IF=38.891)’지에 속보 형태의 논문(doi:10.1038/nmat4825)을 게재하였다. 질소는 대기 중에 가장 흔한 기체로서 공기, 천연가스, 셰일가스, 바이오가스, 제철 부생가스 등의 혼합 기체에 광범위하게 포함되어 있다. 자연계에서는 뿌리혹 박테리아의 효소가 전이금속 활성성분을 이용하여 공기 중의 질소를 이용하여 암모니아를 생산하고 식물에게 제공하여 자연계의 중요한 질소 순환 과정을 이끌어준다. 또한 공기로부터 산소 제조, 천연가스 액화, 도시가스 메탄의 제조 등 질소 제거 분리 정제 기술은 가스 산업은 물론 해양 조선업에서 매우 중요한 분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흡착분리나 막분리 등 다른 분리기술들은 아직까지 흡착제나 분리막 소재의 성능이 미흡하여 사용되지 못하고 있고 그 대신에 에너지 소비가 과다함에도 불구하고 상압 기준 –161℃ 이하의 초저온 증류법이 산업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질소가 함유된 공기에서 산소를 정제하거나 천연가스에서 메탄을 정제하는데 소모되는 초저온 냉각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서는 선택적인 질소 흡착제와 이를 이용한 상온의 흡착분리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질소의 비활성 특성 때문에 효과적인 질소 흡착제를 개발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오랫동안 학문적으로 뿐만 아니라 기술적으로도 중요한 도전 과제로 알려져 있다. 장종산 교수 연구팀은 질소 고정화 효소의 전이금속 이온에 의한 질소 배위 개념을 흡착제 설계에 적용하여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의 3가 크롬이온의 결합 빈자리(또는 불포화배위자리)가 질소 분자를 선택적으로 배위할 수 있으며, 질소/메탄 및 질소/산소 분리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최초로 발견하였다. 또한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의 골격 구조 내 불포화배위자리의 3가 크롬 이온과 질소 분자와의 역결합 상호작용에 의해 질소 흡착량을 증가시키고 산소 및 메탄보다 질소에 대해 훨씬 더 선택적으로 흡착한다는 것을 분자 전산모사 및 분광 분석을 통해 입증하였다. 이러한 개념은 산업적으로는 기체분리용 에너지 절약형 흡착제, 기체 분리 및 정제용 멤브레인 등의 소재, 액화천연가스 생산을 위한 해양 조선업과 산업용 분리공정에 활용될 수 있고, 기술적으로는 다양한 질소 함유 혼합기체의 질소 분리제거용 흡착제와 질소 고정화를 위한 생체모방형 촉매의 설계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No. 51
    • 2018-07-03
    • 4516
  • 키 큰 사람이 날씬하다!

    물리학과 김범준 교수

    키 큰 사람이 날씬하다!

    사람의 체질량 지수 연구 결과 발표 - 동물과 다른 사람의 직립보행이 체질량 지수의 계산법을 결정함을 보임 출생후 한 돌 전후, 걷기 시작하면서 어린아이의 체질량 지수 계산이 달라짐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지'에 논문 게재 논문 링크: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17-03961-w 가로, 세로, 높이의 세 방향으로 같은 비율로 길이를 늘이면 사람의 몸무게는 키의 세제곱에 비례하게 된다. 하지만, 현실의 사람은 이와 달라서, 널리 쓰이는 체질량 지수(BMI)는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눠 구한다. 김범준 교수는, BMI 계산법으로부터, 사람의 허리둘레는 키에 비례하지 않고, 키의 제곱근에 비례함을 밝혔다. 즉, 체질량 지수가 같다면, 키가 큰 사람이 더 날씬하다는 것이다. 키 큰 패션모델이 많은 이유다. 김범준 교수는, 다양한 물고기, 고래, 그리고 네발 육상 동물의 길이와 무게 자료도 함께 분석하여, 이 중 사람만이 무게가 길이의 제곱에 비례함을 보였다. 다른 동물은 모두 무게가 길이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사람의 체질량 지수 계산법이 여러 동물과 다른 이유는 사람이 직립보행하기 때문임을 유추했다. 이로부터, 아직 걷지 못하는 어린 아이들은 몸무게가 키의 세제곱에 비례하지만, 한 돌이 지나 걷기 시작하면서 몸무게가 키의 제곱에 비례하게 될 것으로 예측했고, 스웨덴, 한국, 그리고 세계 보건 기구의 자료로부터 이를 확인했다. 사람의 몸을 단순한 원기둥의 형태로 생각하고, 중력에 의한 돌림힘과 근육에 의한 돌림힘이 평형을 이뤄야 한다는 조건을 적용하면, 사람의 몸무게가 키의 제곱에 비례해야 함을 물리학의 뉴턴 역학을 이용해 보일 수 있었다. 김범준 교수는 또, 인류의 과거 화석 자료로부터 키와 골반의 크기를 측정한다면, 인류가 직립보행을 시작한 시점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김범준 교수 ]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김범준 교수는 지금까지 6700여 회의 누적 피인용 횟수를 갖는 17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통계물리학분야의 연구경험을 이용하여, 다양한 학문분야의 연구자들과 활발한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한국 복잡계학회 회장이며, 한국 물리학회의 대중화 특별 위원회 위원이다. 저서 <세상물정의 물리학>으로 제 56회 한국 출판 문화상을 수상했고, 언론에 칼럼을 연재하고 방송에 출연하는 등, 과학 대중화를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031-299-4541, beomjun@skku.edu)

    • No. 50
    • 2018-07-03
    • 3887
  • 레이저 유도-기계적 충격을 이용한 선택적 세포 포획 기술 개발

    전자전기공학부 박형원 교수 ·박형원 연구원

    레이저 유도-기계적 충격을 이용한 선택적 세포 포획 기술 개발

    박형원 교수 (공동 제1저자; 전자전기공학부 및 글로벌바이오메이컬엔지니어링학부) 및 미국 University of Michigan 윤의식 교수 (교신저자) 연구팀은 레이저 유도-기계적 정밀 충격 효과를 이용하여 수많은 배양세포 가운데 특정 세포를 개개 단위로 선택적으로 그리고 안전하게 포획하는 기술을 최초로 개발하였다 (ACS Nano 2017년 5월호 게재). 반도체 공정을 통해 통일성 있고 일관된 성능의 전자소자가 제작되는 것과 달리 생명을 갖는 세포의 경우 같은 뿌리에서 나온 동일한 종류의 세포들이라 할지라도 이종성(heterogeneity)이 나타날 수 있는데 돌연변이 혹은 특이 약물반응 등으로 이러한 특성이 표현된다. 즉 동일한 종류의 수많은 세포들에 한 가지의 약물을 처리하여 반응을 관찰하더라도 약효가 있는 것과 없는 것, 덜한 것 등의 이종성이 항상 존재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이종성은 암세포의 생성 및 확산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암세포의 경우 줄기세포성(stemness) 유전자가 나타나기도 하고 그렇지 않고 일반적 종양으로 성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분화에 대한 근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모세포로부터 분화된 개개 세포단위에서 유전자 분석을 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배양세포들 가운데 특정한 세포만을 선택적으로 그리고 ‘안전하게’ 포획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이후 포획된 세포를 새로운 분석환경으로 가져와서 유전자 시퀀싱하거나 다시 배양함으로써 그 특성을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다. 현재 화학적 처리를 이용한 배양세포의 포획 기술(trypsinization)이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나 세포 포획의 선택성이 없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 레이저 혹은 탐침을 이용한 물리적 세포 분리/포획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나 세포의 생존성(viability)이 매우 낮다. 본 연구팀은 펄스 레이저를 흡수하여 기계적 충격(마이크로버블 혹은 전단파 발생)을 발생시킬 수 있는 고효율 에너지 변환 물질(탄소나노튜브-고분자 합성물)에 주목하였으며 세포배양용 기판으로 이 물질을 활용하였다. 레이저가 입사된 위치에 국한하여 정밀하게 충격을 발생시켜 목표 세포를 기판으로부터 분리하고 미세유체칩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포획하는데 성공하였다. 포획된 세포는 원형 보존성에 있어서 기존의 화학적 포획 방법이 세포 표면을 손상 혹은 변형시키는 것과 달리 배양세포 그대로 원형이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세포 생존성에 있어서도 동등한 수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발된 방법을 세포분석에 직접 적용하여, 하나의 암세포로부터 분화된 두 개의 딸세포를 포획 및 분석하여 같은 세포혈통 사이에도 유전적 변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처음으로 규명하였다. 박형원 교수는 “이번 성과는 세포배양, 분리, 포획 등을 이용하는 광범위한 세포 분석 연구에 적용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이면서도 필수적인 실험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정밀한 공간 선택성과 온전하게 포획되는 안정성이 동시에 확보됨에 따라 향후 세포 및 약물의 종류에 따른 수많은 특이반응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하였다. ACS Nano 11(5), 4660-4668 (2017); http://pubs.acs.org/doi/abs/10.1021/acsnano.7b00413

    • No. 49
    • 2018-07-03
    • 5095
  • 자율주행 자동차를 위한 악천후 환경에서의 보행자 및 차량 인식•검출 Deep Learning 기술 개발

    반도체시스템공학과 전재욱 교수

    자율주행 자동차를 위한 악천후 환경에서의 보행자 및 차량 인식•검출 Deep Learning 기술 개발

    자율주행 자동차는 스스로 주변 환경을 인식하여 위험을 판단하고 주행 경로를 계획할 수 있는 안전 주행이 가능한 자동차 이다. 현재 자율주행 자동차 주변 환경을 인식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센서는 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등이다. 그런데 레이더나 라이다 등은 사람의 눈이나 카메라처럼 조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듬성듬성한 정보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보행자나 차량을 구분해서 인식하기 어렵고 단순히 자동차와 물체와의 거리만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카메라 기반의 장애물 검출 기술은 날씨가 화창한 환경에서는 보행자 및 차량을 검출할 수 있지만 눈이나 비가 내리거나 주위가 어두워지면 보행자 및 차량을 제대로 검출하지 못한다. 본 연구팀은 악천후에서도 보행자 및 차량을 제대로 인식하고 검출할 수 있는 새로운 딥러닝 (Deep Learning)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악천후에서도 물체와의 거리 및 형상정보를 제대로 얻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새로운 스테레오 매칭 기술 및 새로운 부분 정보 추출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정보는 카메라 영상 정보와 함께 딥러닝 시스템을 학습시키기 위해 사용되었다. 단일 카메라 영상 만을 이용하는 기존의 딥러닝 시스템과는 달리, 실제 차량에 두 대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악천후 환경을 포함한 영상 학습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하여 새롭게 설계된 딥러닝 시스템을 학습시켰다. 본 연구팀은 이러한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도로 상의 보행자, 차량, 신호등, 신호 표지판 등을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인식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제13회 현대자동차그룹 미래자동차 기술공모전: 자율주행자동차 경진대회 영상인식분야의 임베디드 시스템 부문 1위, PC 부문 2위를 수상하였다. 향후 미래의 자율주행 자동차에서는 차량에 장착된 여러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선 인식, 분기로/합류로 인식, 신호등 및 표지판 인식, 자동주차, 주변 환경 인식 등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지능형 영상처리 기술이 필요하며 본 연구팀에서는 관련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 No. 48
    • 2018-07-03
    • 4714
  • '반도체 위에 성장한 비정질 그래핀' 신기술 개발

    신소재공학부 황동목 교수

    '반도체 위에 성장한 비정질 그래핀' 신기술 개발

    비정질 그래핀 합성 원천기술 세계 첫 개발, 성균관대-삼성전자 공동 연구결과 국내 연구진이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의 새로운 형태인 비정질 그래핀의 대면적 합성 기술을 개발, 대표적인 차세대 신소재인 2차원 소재의 응용범위 확산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의 황동목 교수, 이재현 박사 등 성균관대 연구팀이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황성우 전무, 주원제 박사 등과 공동으로 반도체 웨이퍼 위 “대면적의 단원자층 비정질 그래핀 합성” 원천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그래핀은 탄소원자들이 육각형의 격자를 이루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진 단일원자층 두께의 대표적인 결정성 2차원 물질로, 매우 뛰어난 전기적, 기계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꿈의 신소재로 불리기도 한다. 2004년 그래핀의 우수한 특성이 알려진 이후 다양한 2차원 물질이 세계적으로 매우 활발하게 연구되어 왔으나, 지금까지의 2차원 물질의 연구는 물질내 구성원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있는 결정성 물질에 국한되었다. 성대-삼성전자 공동연구팀은 지난 2014년도에 반도체 기판 위에 단결정 그래핀을 대면적으로 합성하는 원천기술을 개발하여 학계 및 산업계에서 큰 주목을 받은 바 있으며, 이번 후속연구를 통해 2차원물질내의 원자간 결함구조를 조절하여 2차원 평면상에서 탄소원자들이 랜덤하게 연결된 비정질 그래핀을 대면적으로 합성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번 성과는 차세대 산업의 핵심소재로 부각되고 있는 2차원 소재의 범위를 대폭 확장한 것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기존 결정성 2차원 소재와는 다른 비정질 2차원소재의 새로운 특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응용분야를 개척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이 연구 논문은 사이언스 어드밴스(Science Advances)지 온라인판에 지난 10일 게재되었으며, 공동제1저자로 참여한 성균관대 이재현 박사는 한국연구재단의 대통령포스닥사업의 지원을 받고 있다.

    • No. 47
    • 2018-07-03
    • 3489
  • 상기 콘텐츠 담당